본문 바로가기
생활일기(육아 자기계발 직장)

[서울시버스파업] 집단지성의 힘과 그 효과

by 위킹대디 2024. 3. 28.
반응형

오늘 아침 워킹대디네 동네 도로의 모습입니다. 

무언가 다른날보다 다른 아침의 풍경이 느껴지시나요?

아침 출근시간이면, 한창 많이 보여야 할 무언가가 빠져 있습니다. 

 

우리 벗님들, 한번 맞춰보시겠어요? 

두둥.....

.

.

.

.

.

.

.

.

.

.

 

정답은 바로? 버스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93582?rc=N&ntype=RANKING

 

서울 시내의 버스들은 대부분 서울시 소속으로

전체 서울 시내버스 7천382대 중에 97.6%에 해당하는 7천210대가

이번에 임금협상의 교섭을 서울시와 진행을 했지만,

서로 간의 이견이 좁혀지지 못해서 결국 서울시버스노동조합에서

전체 파업을 3월28일 새벽부터 진행하여

현재, 아주 소수의 서울시 소속 버스 노선과 인근 경기도와 노선이 연계된 경기도지역 버스 외에 

대부분의 서울시 소속 버스는 현재, 길에서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서울시와 노조 사이에 임금협상안에 대한 차이가 워낙 크다보니, 

협상을 벌였지만, 노조가 최종 양보한 6.1%에 대해서도 서울시에서는 너무 부담으로 판단하여

협의가 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빠르게 해결이 되어서 양쪽 모두 더 양보를 하고, 

재정적인 부담도 최소화 하는 선에서 협의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항상 다양한 구성원들이 사는 사회 속에서 갈등은 있을 수 밖에 없지만, 

의대증원 문제때문에도 시끄러운 지금 버스 임금문제까지 터지며, 

여러모로 생활이 불편해지니.... 

다른 당사자들간의 갈등으로 우리의 생활에 불편을 끼치는 현상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엉엉.... 

 

 

 

왜 이런 갈등들이 일어날까요?

요즘은 개인 간의 갈등 못지 않게 집단 간의 갈등으로 인한 이슈가

뉴스의 주요소식으로 떠오르며, 우리의 일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집단갈등의 원인 중의 가장 큰 이유로 저는 사회가 발전하면서

공고화되고 있는 '집단지성'에서 그 원인을 찾고 싶은데요. 

 

집단지성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이란?

여러 개인 또는 조직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의사결정을 내리는 능력을 뜻함.

이는 다수의 개인이 개별적으로는 이뤄내지 못하는 일을

집단으로서 협력하여 해결하거나 수행하는 것을 의미함.

 

                                         

 

집단지성의 유형은 직업이나 학력 등에 따라, 

특정한 조직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며, 

SNS 등의 발달로 특별한 주제에 대한 의견을 함께 공유하는 사람들 간에 형성되기도 합니다. 

 

합리적인 대중들의 의사형성과 문제해결의 수단이 되고, 

사회적 현상들을 풀어나가는데 지혜롭게 이 집단지성이 

힘을 발휘하며 쓰이고 있지만, 

사회가 갈수록 모든 부분에서 양극화, 극단화가 되고 있는 

악영향에도 원인을 끼치는 것이 집단지성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영향을 양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긍정적 영향

 

1. 문제해결과 혁신

: 집단지성은 다양한 관점과 전문 지식을 결합함으로써 문제를 더 빠르게 해결하고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2. 의사결정의 정확성 향상

: 다수의 의견과 정보를 종합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므로 개인적인 편향이나 오류를 보완하고 보다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3. 지식 공유와 학습

: 집단지성은 다양한 배경과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 간에 지식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지식의 확장과 개인적인 학습을 촉진합니다.

 

4. 사회적 연결과 협력 강화

: 집단지성은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시켜 사회적 연결과 협력을 증진시킵니다.

 

부정적 영향

 

1. 그룹 사고와 그룹편향

: 집단지성은 그룹 내에서 그룹사고와 그룹편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적인 창의성과 독립적인 사고를 억누를 수 있습니다.

 

2. 정보 과부하

: 정보의 풍부성과 다양성은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정보의 과부하로 인해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3. 의견 충돌과 갈등

: 서로 다른 의견이 충돌할 경우 집단 내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협력과 의사결정 과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4. 개인의 책임 회피

: 집단의 결정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이 개인적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5. 개인의 의견 억압

: 강력한 의견이나 개인적인 창의성이 집단의 통일된 의견에 묻혀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집단지성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해하고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그 잠재력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각자 여러 집단에 속해 있으며,

그 집단 중에는 '집단지성' 잘 형성되어 있는 집단도 있을테고,

반대로 '집단지성'이 느슨한 집단도 있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모든 게 그렀겠지만, '집단지성'도 내가 내게 합리적이고 도움이 되게

잘 이용하느냐에 따라,

내가 편협해지지 않고 삶을 더 질 높게 가꾸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고,

반대로 내가 이 '집단지성'에 휘둘려서 내 개인의 생각을 '집단'에 맞추고,

편협한 판단에 빠지지 않는 것입니다. 

 

모든 주어진 상황을 좋은 방향으로 이용할 줄 아는

우리 벗님들 되기를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오늘 하루도 평안하고, 가치있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안뇽~!!!!